고객지원

  •  일반자료실
  • 강의자료실
  • 부품채용설명회
  • 진공산업저널

일반자료실

홈으로 > 자료실 > 일반자료실

제목 2022.10.17(월) KOVRA NEWS 등록일 2022.10.17 19:08
글쓴이 한국진공기술연구조합 조회 230

 2022.10.17 () 헤드라인 및 주요 뉴스 선정

① 美 반도체 장비업체중국 떠나 한국행?"세계 4대 기업이 온다" (머니투데이 오진영 기자)1p


미국의 주요 반도체 장비업체들이 중국 사업 활동을 일제히 중단하면서

한국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저지하려는 미국의 움직임이 계속되자 중국을

대신할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서의 한국 역할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세계 4대 반도체 장비업체들이 모두 국내에 주요 거점을 확보해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14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의 핵심 반도체 장비업체들인 램리서치,

KLAC, LRCX 등은 최근 YMTC(양츠메모리)에 상주 중인 직원들을 철수시키는 등

중국에서의 사업 활동을 중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들 업체가 YMTC의 기존 장비 지원을 중단했으며

새 장비 설치도 멈췄다고 보도했다반도체 장비 세계 1위 기업인 AMAT도 주요

인력의 '탈중국'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들 업체의 철수는 미국 상무부가 지난 7일 미국 기업의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을 사실상 금지했기 때문이다.


YMTC 외에도 베이팡화창이나 화하이칭커하이광정보 등 중국의 반도체 생산

기업이 미국의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장비 상위 10대 기업 중 3곳이

미국으로이들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40%에 달한다.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것은 한국 반도체 업계다중국과 지리적 거리가 가까울뿐더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 기업(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어 투자처 변경이

용이하다.


장비업체 중 첫손에 꼽히는 AMAT의 매출 약 22%가 한국 시장에서 나오는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 규모다중국의 대형 고객사들과 거래 중단으로 매출 하락이

예고된 미국 업체들에게 장기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동맹국으로서의 미국과의 관계도 이점이다. 



세계 4대 반도체 장비 기업이 이미 모두 국내에 거점을 보유하고 있어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AMAT와 미국 램리서치일본 도쿄일렉트론(TEL)은 한국에 연구개발(R&D)

거점을 보유하고 있으며네덜란드 ASML 2024년까지 2400억원을 들여

화성에 극자외선(EUV) 트레이닝센터와 재제조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AMAT는 지난달 북미지역 7개 기업과 함께 1 6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국내 업계는 투자 확대로 반도체 업계에 새 활력이 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온세미는 국내 업체로부터 3500억원어치의 전력반도체 소재·부품·장비를

구매할 계획이며, AMAT 2000명 이상의 국내 직원을 고용한 데 이어 올해 최대

300명 이상의 추가 인력을 채용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 장비업체들의 거점이 국내에 있다는 것은 단순한 매출 증대

효과 이외에도 기술 이전고용 확대 등의 효과를 갖고 있다"라며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서의 입지 확보를 위해 유치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주요 기업 투자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최근 정부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네덜란드와 독일의 반도체 부품·장비 업체로부터

 2000만달러에 달하는 투자 유치 성과를 내는 등 외국기업의 한국 FDI(외국인 직접투자)

늘고 있다"라며 "업계와 긴밀한 논의를 통해 주요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② 반도체 설계 클라우드 바람…'구글입김 세졌다 (전자 권동준 기자) 2p 


구글 클라우드가 반도체 설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반도체 설계자동화(EDA) 툴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반도체 EDA 툴 상위 3개사 모두 구글 클라우드로 설계 환경을 구축하면서 기존

라이선스 단위 비즈니스모델(BM)의 패러다임 전환이 빨라질 전망이다.


파일첨부 :